대한민국 철도청(비교)
r14 vs r15 | ||
---|---|---|
... | ... | |
29 | 29 | |
30 | 30 | 새마을호와 통일호는 노란색과 초록색[* 통일호는 처음엔 노란색+남색이었으나 1997년에 각역정차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초록색으로 변경되었다.], 무궁화호는 노란색과 주황색[* 빨간색에 가까운 진한 주황.], 2000년에 사라진 비둘기호는 노란색과 연두색으로 변경되었다. |
31 | 31 | |
32 | 1999년 |
|
32 | 1999년 통근열차에 붙은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엠블럼. 1999년에 제작된 [[수도권 전철 4호선]]용 [[철도청 341000호대 전동차]]의 3차분 일부 객차 출입문에도 이 엠블럼이 붙어있다. |
|
33 | 33 | |
34 | 34 | == 민영화 == |
35 | 35 | 1963년 이전 교통부직제에 따르면 교통부가 철도 사업을 관장했던 부서로는 육운국, 시설국, 공전국 등에서 맡았다. 6.25 전쟁 이후 관영 사업으로써 지속적인 적자 해결과, 1963년 당시 한국 철도의 효율적인 확장을 위해 교통부에서 철도사업부문을 분리해 소속 외청으로 독립했다. 당시 세계은행에서 법인화를 제안했으나 뚜렷한 검토를 못한채 철도청이 발족했다. 따라서 홈페이지 주소가 '''go'''.kr로 끝났다. 지금은 각 민영철도기업 전용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
... | ... | |
44 | 44 | |
45 | 45 | 1999년 6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철도산업발전기본법 등이 통과되었다. |
46 | 46 | |
47 | 철도청의 영업 부문은 2000년 4월에 민영화 되었으나 전부터 너무 이리저리 흔들며 진행해 온 정책이다 보니 모양새가 어중간해졌다. 당시 관련 법률상 반드시 공무원이 맡아야 하는 특별사법경찰관리의 업무는 철도특별사법경찰대를 신설해 건설교통부(現 |
|
47 | 철도청의 영업 부문은 2000년 4월에 민영화 되었으나 전부터 너무 이리저리 흔들며 진행해 온 정책이다 보니 모양새가 어중간해졌다. 당시 관련 법률상 반드시 공무원이 맡아야 하는 특별사법경찰관리의 업무는 철도특별사법경찰대를 신설해 건설교통부(現 국토교통부)에 잔류 흡수돼 건설교통부 철도국이 됐다. 이와 동시에 홈페이지 주소도 korail.com으로 변경했다. |